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4)
3-4. 세트(Set)의 특성과 중복 제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키(Key)와 값(Value) 쌍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순서가 있는 데이터(리스트, 튜플)와 키-값 형태의 데이터(딕셔너리)를 다루는 방법을 익히셨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또 다른 독특한 자료구조인 **세트(S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트는 수학의 '집합' 개념과 매우 유사하며, 특히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고, 요소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집니다.그럼, 세트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활용되는지 자세히 살펴볼까요?Part 1: 세트(Set)란 무엇인가?파이썬의 세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Unique Element..
3-3. 딕셔너리(Dictionary)의 개념과 키-값 구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불변성이라는 중요한 차이를 가진 튜플(Tupl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순서가 있는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익히셨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또 하나의 매우 강력하고 유용한 자료구조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이 짝을 이루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전(dictionary)처럼 키를 통해 값을 찾아내는 방식이 특징입니다.마치 영어 사전에서 단어(키)를 찾으면 그에 해당하는 의미(값)를 얻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딕셔너리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Part 1: 딕셔너리(Dictionary)란 무엇인가?파이썬의 딕셔너리는..
3-2. 튜플(Tuple)과 불변성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의 가장 유용하고 유연한 자료구조인 리스트(Lis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리스트는 순서가 있고, 다양한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내용을 자유롭게 변경(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죠.이번 시간에는 리스트와 매우 비슷하게 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담지만, 결정적인 차이를 가진 또 다른 자료구조인 **튜플(Tup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튜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바로 **불변성(Immutability)**입니다."불변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튜플은 어떤 상황에 사용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튜플(Tuple)이란 무엇인가?파이썬의 튜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순서가 있다: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저장한 순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