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4)
4-3. 기본값, 가변 인자 (*args, kwargs)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고, 리턴값을 통해 결과를 돌려주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함수는 다양한 입력에 반응하고, 그 결과로 다른 작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죠!이번 시간에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더욱 유연하게 다루는 세 가지 고급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기본값(Default Value) 매개변수, 그리고 정해지지 않은 개수의 위치 인자들을 받는 *args (아스타 args), 정해지지 않은 개수의 키워드 인자들을 받는 **kwargs (더블 아스타 kwargs) 입니다.이 기능들을 알면 함수를 호출할 때 더 편리해지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Part 1: 기본값(Default Value) 매개변수 - 인..
4-2. 매개변수와 리턴값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묶어서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할 수 있게 되었죠!하지만 지금까지 만든 함수는 항상 정해진 작업을 똑같이 반복할 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add_numbers() 함수는 항상 10과 20만 더했습니다. 만약 다른 숫자를 더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함수가 계산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넘어, 그 결과를 다른 곳에서 활용하고 싶다면요?이번 시간에는 함수를 더욱 유연하고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인 **매개변수(Parameter)**와 **리턴값(Return Valu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Part 1: 매개변수(Parameter) - 함수에..
4-1. 함수의 정의와 호출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리스트와 딕셔너리 내포 표현식을 통해 데이터를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함수(Fun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덩어리를 하나로 묶어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이렇게 묶어두면 코드를 필요할 때마다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그 이름만 불러서(호출해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마치 복잡한 요리 과정을 하나의 레시피(함수)로 만들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그 레시피를 보고 요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파이썬에서 함수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함수(Function)란 무엇인..
3-6. 리스트/딕셔너리 내포 표현식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의 주요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세트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서드들을 총정리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파이썬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파이썬스럽게(Pythonic)"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문법인 **내포 표현식(Comprehens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와 **딕셔너리 내포(Dictionary Comprehension)**를 통해 기존의 반복문보다 훨씬 짧고 직관적인 코드로 새로운 컬렉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내포 표현식은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파이썬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고 자주 사용되..
3-5. 자료구조 메서드 정리 (append, pop, update 등)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 자료구조인 세트(Set)와 그 핵심인 '중복 제거' 기능, 그리고 집합 연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파이썬의 주요 기본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세트의 기본적인 개념을 모두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이 자료구조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메서드(Method)**들을 총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메서드는 특정 자료형(객체)에 속하여, 그 자료형의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각 자료구조가 제공하는 메서드들을 알면 코드를 훨씬 간결하고 강력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Part 1: 리스트(List) 메서드 - 변경 가능한 순서 있는 컬렉션리스트는 변경 가능한(mutable) 자료구조..
3-4. 세트(Set)의 특성과 중복 제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키(Key)와 값(Value) 쌍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순서가 있는 데이터(리스트, 튜플)와 키-값 형태의 데이터(딕셔너리)를 다루는 방법을 익히셨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또 다른 독특한 자료구조인 **세트(S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트는 수학의 '집합' 개념과 매우 유사하며, 특히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고, 요소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집니다.그럼, 세트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활용되는지 자세히 살펴볼까요?Part 1: 세트(Set)란 무엇인가?파이썬의 세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Unique Element..
3-3. 딕셔너리(Dictionary)의 개념과 키-값 구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불변성이라는 중요한 차이를 가진 튜플(Tupl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순서가 있는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익히셨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또 하나의 매우 강력하고 유용한 자료구조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이 짝을 이루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전(dictionary)처럼 키를 통해 값을 찾아내는 방식이 특징입니다.마치 영어 사전에서 단어(키)를 찾으면 그에 해당하는 의미(값)를 얻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딕셔너리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Part 1: 딕셔너리(Dictionary)란 무엇인가?파이썬의 딕셔너리는..
3-2. 튜플(Tuple)과 불변성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의 가장 유용하고 유연한 자료구조인 리스트(Lis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리스트는 순서가 있고, 다양한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내용을 자유롭게 변경(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죠.이번 시간에는 리스트와 매우 비슷하게 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담지만, 결정적인 차이를 가진 또 다른 자료구조인 **튜플(Tup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튜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바로 **불변성(Immutability)**입니다."불변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튜플은 어떤 상황에 사용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튜플(Tuple)이란 무엇인가?파이썬의 튜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순서가 있다: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저장한 순서가 ..
3-1. 리스트(List)의 정의와 사용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중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프로그램의 흐름을 더욱 복잡하고 정교하게 제어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파이썬 프로그램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되었을 거예요!이번 시간부터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적인 **자료구조(Data Structur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바로 **리스트(List)**입니다.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담아 관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유연한 자료구조입니다. 마치 여러 물건을 한 줄로 나열해 놓은 진열대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Part 1: 리스트(List)란 무엇인가?파이썬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순서가 ..
2-6. 중첩 조건문과 반복문 활용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반복문의 흐름을 중간에 제어하는 break와 continue 키워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프로그램이 특정 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반복을 멈추거나 건너뛸 수 있게 되었죠!이번 시간에는 조건문(if, elif, else)과 반복문(for, while)을 **중첩(Nested)**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첩이란 말 그대로 "안에 또 다른 것을 넣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건문 안에 조건문, 반복문 안에 반복문, 또는 반복문 안에 조건문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훨씬 더 복잡하고 강력한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중첩된 구조는 코드의 들여쓰기 레벨이 깊어지므로, 이전에 배운 들여쓰기 규칙을 더욱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Part 1: 중첩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