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9) 썸네일형 리스트형 3-5. 자료구조 메서드 정리 (append, pop, update 등)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 자료구조인 세트(Set)와 그 핵심인 '중복 제거' 기능, 그리고 집합 연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파이썬의 주요 기본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세트의 기본적인 개념을 모두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이 자료구조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메서드(Method)**들을 총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메서드는 특정 자료형(객체)에 속하여, 그 자료형의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각 자료구조가 제공하는 메서드들을 알면 코드를 훨씬 간결하고 강력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Part 1: 리스트(List) 메서드 - 변경 가능한 순서 있는 컬렉션리스트는 변경 가능한(mutable) 자료구조.. 3-4. 세트(Set)의 특성과 중복 제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키(Key)와 값(Value) 쌍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순서가 있는 데이터(리스트, 튜플)와 키-값 형태의 데이터(딕셔너리)를 다루는 방법을 익히셨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또 다른 독특한 자료구조인 **세트(S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트는 수학의 '집합' 개념과 매우 유사하며, 특히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고, 요소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는 특징을 가집니다.그럼, 세트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활용되는지 자세히 살펴볼까요?Part 1: 세트(Set)란 무엇인가?파이썬의 세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Unique Element.. 3-3. 딕셔너리(Dictionary)의 개념과 키-값 구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불변성이라는 중요한 차이를 가진 튜플(Tupl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순서가 있는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익히셨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또 하나의 매우 강력하고 유용한 자료구조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이 짝을 이루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전(dictionary)처럼 키를 통해 값을 찾아내는 방식이 특징입니다.마치 영어 사전에서 단어(키)를 찾으면 그에 해당하는 의미(값)를 얻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딕셔너리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Part 1: 딕셔너리(Dictionary)란 무엇인가?파이썬의 딕셔너리는..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