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9)
4-2. 매개변수와 리턴값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묶어서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할 수 있게 되었죠!하지만 지금까지 만든 함수는 항상 정해진 작업을 똑같이 반복할 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add_numbers() 함수는 항상 10과 20만 더했습니다. 만약 다른 숫자를 더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함수가 계산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넘어, 그 결과를 다른 곳에서 활용하고 싶다면요?이번 시간에는 함수를 더욱 유연하고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인 **매개변수(Parameter)**와 **리턴값(Return Valu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Part 1: 매개변수(Parameter) - 함수에..
4-1. 함수의 정의와 호출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리스트와 딕셔너리 내포 표현식을 통해 데이터를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함수(Fun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덩어리를 하나로 묶어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이렇게 묶어두면 코드를 필요할 때마다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그 이름만 불러서(호출해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마치 복잡한 요리 과정을 하나의 레시피(함수)로 만들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그 레시피를 보고 요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파이썬에서 함수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함수(Function)란 무엇인..
3-6. 리스트/딕셔너리 내포 표현식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의 주요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세트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서드들을 총정리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파이썬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파이썬스럽게(Pythonic)"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문법인 **내포 표현식(Comprehens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와 **딕셔너리 내포(Dictionary Comprehension)**를 통해 기존의 반복문보다 훨씬 짧고 직관적인 코드로 새로운 컬렉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내포 표현식은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파이썬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고 자주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