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9)
5-2. 파일 쓰기(write, with 구문)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파일을 열고(open()), 파일의 내용을 읽어오는 다양한 방법(read(), readline(), readline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파일을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close() 메서드로 파일을 닫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었죠.이번 시간에는 파일에 데이터를 쓰는(Write)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파일에 내용을 쓰는 write()와 writelines() 메서드를 배우고, 무엇보다 파일 입출력 시 파일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보장해주는 with 구문의 중요성과 사용법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입니다.Part 1: 파일에 데이터 쓰기 - write()와 writelines()파일에 데이터를 쓰기 위해서는 open() 함수를 쓰기 모드('w') 또는 ..
5-1. 파일 읽기(open, read, readline)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재귀 함수의 개념과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함수를 통해 코드를 재사용하고,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부터는 프로그램이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파일 입출력(File Input/Outp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사용할 때 파일 입출력이 필요합니다.그 첫 번째 단계로, 파이썬에서 파일을 열고 내용을 읽어오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파일을 여는 open() 함수, 그리고 내용을 읽는 read(), readline(), readlines() 메서드를 중심으로 학습할 것입니다.Part 1: open() 함수 ..
4-6. 재귀 함수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 변수의 유효 범위인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그리고 global 키워드의 사용법과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변수가 코드의 어디까지 영향을 미 미치는지 이해하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함수와 관련된 조금 더 고급스러운 개념인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귀 함수는 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처음 들으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특정 종류의 문제들을 매우 우아하고 간결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법입니다.마치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은 형태의 더 작은 문제를 계속해서 풀어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재귀 함수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재귀 함수(Recu..
4-5. 지역변수 vs 전역변수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짧고 간결한 익명 함수인 람다(lambda) 함수를 배우고, 이를 map(), filter(), sorted()와 같은 함수들과 함께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함수를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 즉 **변수의 유효 범위(Scop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지역변수(Local Variable)**와 **전역변수(Global Variable)**의 개념과 이 둘이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주의할 점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이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함수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예상치 못한 오류를 피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Part 1: 지역변수 (Local..
4-4. 람다(lambda) 함수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함수의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설정하거나, *args와 **kwargs를 사용하여 유연하게 인자를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함수는 다양한 호출 방식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죠!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짧고 간결한 함수를 만들 때 매우 유용한 특별한 함수인 람다(lambda)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람다 함수는 이름이 없는(익명) 함수이며, 주로 한 줄로 간단하게 표현되는 작은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정식으로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간결하고 즉흥적인 함수 생성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람다 함수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람다(lambda) 함수란 무엇인가?람..
4-3. 기본값, 가변 인자 (*args, kwargs)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고, 리턴값을 통해 결과를 돌려주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함수는 다양한 입력에 반응하고, 그 결과로 다른 작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죠!이번 시간에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더욱 유연하게 다루는 세 가지 고급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기본값(Default Value) 매개변수, 그리고 정해지지 않은 개수의 위치 인자들을 받는 *args (아스타 args), 정해지지 않은 개수의 키워드 인자들을 받는 **kwargs (더블 아스타 kwargs) 입니다.이 기능들을 알면 함수를 호출할 때 더 편리해지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강력한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Part 1: 기본값(Default Value) 매개변수 - 인..
4-2. 매개변수와 리턴값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묶어서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할 수 있게 되었죠!하지만 지금까지 만든 함수는 항상 정해진 작업을 똑같이 반복할 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add_numbers() 함수는 항상 10과 20만 더했습니다. 만약 다른 숫자를 더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함수가 계산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넘어, 그 결과를 다른 곳에서 활용하고 싶다면요?이번 시간에는 함수를 더욱 유연하고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인 **매개변수(Parameter)**와 **리턴값(Return Valu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Part 1: 매개변수(Parameter) - 함수에..
4-1. 함수의 정의와 호출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리스트와 딕셔너리 내포 표현식을 통해 데이터를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함수(Fun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덩어리를 하나로 묶어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이렇게 묶어두면 코드를 필요할 때마다 다시 작성할 필요 없이, 그 이름만 불러서(호출해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마치 복잡한 요리 과정을 하나의 레시피(함수)로 만들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그 레시피를 보고 요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파이썬에서 함수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Part 1: 함수(Function)란 무엇인..
3-6. 리스트/딕셔너리 내포 표현식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의 주요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세트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서드들을 총정리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파이썬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파이썬스럽게(Pythonic)"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문법인 **내포 표현식(Comprehens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와 **딕셔너리 내포(Dictionary Comprehension)**를 통해 기존의 반복문보다 훨씬 짧고 직관적인 코드로 새로운 컬렉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내포 표현식은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파이썬 개발에서 매우 중요하고 자주 사용되..
3-5. 자료구조 메서드 정리 (append, pop, update 등)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 자료구조인 세트(Set)와 그 핵심인 '중복 제거' 기능, 그리고 집합 연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파이썬의 주요 기본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세트의 기본적인 개념을 모두 익히셨을 거예요.이번 시간에는 이 자료구조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메서드(Method)**들을 총정리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메서드는 특정 자료형(객체)에 속하여, 그 자료형의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각 자료구조가 제공하는 메서드들을 알면 코드를 훨씬 간결하고 강력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Part 1: 리스트(List) 메서드 - 변경 가능한 순서 있는 컬렉션리스트는 변경 가능한(mutable) 자료구조..